Q 1-1 티/스쿨 참가 신청은 언제, 어떻게 하나요?
디자이너, 기획자, 마케터! 디지털 환경을 기반으로 일하는 실무자를 위한 T/SCHOOL
T/SCHOOL이 궁금한 분들을 위해 마련한 무료 특별 강연과 토론 [Pre-Talk]를 소개합니다
[Pre-Talk]은 T/SCHOOL에 앞서 진행하는 사전 공개행사로 학회원 여부, T/SCHOOL 신청 여부와 상관 없이 누구나 참가하실 수 있습니다.
[Pre-Talk]은 디지털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강연과 토론을 중심으로, T/SCHOOL에 대해 보다 자세히 알 수 있는 시간들로 구성됩니다.
더 많은 분들의 궁금증을 해소해드리고자 [Pre-Talk]은 1월 22일(금) 오후 2시 유튜브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진행되며, 22일 오후 8시 이후 ‘다시보기’가 가능합니다.
T/SCHOOL 수강 등록을 망설이고 있다면 주저말고 [Pre-Talk]에 참여하세요! 자세한 내용 및 참가 방법은 아래를 참고 바랍니다.
날짜 1월 22일 (금)
시간 14:00–15:15 (라이브)
20:00 이후 다시보기 가능
운영 유튜브 라이브 스트리밍
프로그램
14:00–14:10 | 소개 | 김수은 학회 사무국장 | |
14:10–14:40 | 강연 | 내일은 늦으리: 디지털 시대의 타이포그래피 교육 석재원 학회 부회장 |
|
14:40–15:10 | 토론 | 석재원 학회 부회장 이병학 학회 논문편집 위원장 구자은 학회 한글특별위원회 위원장 |
|
15:10–15:15 | 클로징 | T/SCHOOL 및 수강생 리워드 소개 |
T/SCHOOL에서만 들을 수 있는
디지털 환경 속 타이포그래피에
관한 경험 그리고 미래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는 타이포그래피와 시각문화를 다루는 학술 단체로서 그동안 지면 중심의 타이포그래피를 바탕으로 다양한 학술 활동을 해왔습니다.
하지만 우리 생활 속 읽는 행위는 이미 종이를 벗어나 화면 위주로 일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타이포그래피에 관한 논의 또한 무게 중심을 옮겨야 할 때입니다.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는 2021년 1월 T/SCHOOL을 열어 새로운 시대를 위한 교육을 시작하고자 합니다.
첫 번째 T/SCHOOL에서는 디지털 기반으로 활발하게 활동 중인 전문가들이
웹과 모바일 환경에서의 타이포그래피 양상과 여러 가지 발견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강연은
‘디지털 환경에서의 폰트디자인’, ‘UX/UI 타이포그래피’, ‘타이포그래피와 기술’, ‘화면에서의 타이포그래피’
이렇게 네 가지의 큰 주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지금이 아니면 늦을, 전혀 새로운 타이포그래피의 시작에 초대합니다.
날짜 | DAY 1 1.29 (금) 14:00‒17:10 |
DAY 2 2.5 (금) 14:00‒17:10 | |
2.12 (금) ― 설날 | |
DAY 3 2.19 (금) 14:00‒17:10 | |
DAY 4 2.26 (금) 14:00‒17:10 | |
연사 |
이바도 네이버 정희연 토스 강이룬 Parsons School of Design 김희진 스튜디오 룰루랄라 위예진 산돌 정성훈 Facebook 최치영 윤디자인그룹 엉뚱상상 구경모 디자인피버 박용락 폰트릭스 박현석+안수형 우아한형제들 한석진 Univ. of Bristol 김기조 기조측면 김유민+임은지+이화영 카카오 김영선 바이널씨 심규하 Carnegie Mellon Univ. 정기영+이두희 허스키폭스 |
주최/주관 |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
공동운영 |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레오닷, 리바이벌랩스 |
후원 | 네이버, 두성종이, 월간 디자인, 산돌, 홍디자인 |
협찬 | 달차, 바이널씨, 우아한형제들, 카카오, 플러스엑스 |
운영 방식 | 온라인 라이브 스트리밍 |
강연 스트리밍 장소 | 두성종이 디*라운지 (d*lounge) |
수강 등록 | |
4회 수강료 (DAY 1 ~ DAY 4) | |
일반 360,000원 | |
회원 200,000원 | |
대학생 120,000원 * 재학증명서 제출 가능자에 한함 |
|
문의 | |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사무국 | |
info@koreantypography.org |
이바도 네이버
손글씨가 곧바로 폰트로 만들어 질 수 있다면? 인공지능을 이용한 폰트 제작기
정희연 토스
종이와 화면은 어떻게 다른가? 디지털 환경에서의 타이포그래피가 지니는 특수성에 대한 고찰과 미학적 특징에 대한 해석
강이룬 Parsons School of Design
디자인을 위한 디지털 도구들은 누가, 어떻게, 무슨 이유로 만드는가? 일러스트레이터, 인디자인, TeX, CSS, 워드프레스, 배리어블 폰트를 넘나드는 디자인 주변의 역사적, 기술적 현상들에 대한 비평
김희진 스튜디오 룰루랄라
워크맨, 시즌비시즌, 와썹맨... 흥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비결은? 돋보이는 콘텐트 디자인을 위한 컨셉트 설계와 자막, 썸네일 제작기
위예진 산돌
하나의 폰트를 여럿이 함께 제작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디지털 환경에서 동아시아의 폰트 제작자들이 협업하는 방법
정성훈 Facebook
글로벌 서비스에서는 어떤 타이포그라피 이슈가 있을까? 실리콘밸리의 디자이너가 이야기하는 다국어와 이머징마켓 타이포그라피 이야기.
최치영 윤디자인그룹 엉뚱상상
폰트는 만지고 감각하는 놀이의 도구다? 엉뚱발랄한 타입 플레이 이야기와 오감을 자극하는 색다른 폰트 제작기
구경모 디자인피버
타이포그라피와 코드가 만나 글자가 움직인다면? 감성을 더하고 정보 전달력을 증폭시키는 코드 사용기
박용락 폰트릭스
한글, 로마자, 숫자를 마음대로 조합하여 폰트를 생성할 수 있다면? 새로운 개념의 합성글꼴의 이야기
박현석+안수형 우아한형제들
생기가 넘쳐나는 헐굿멋짱캬한 커뮤니케이션을 하려면? 유별난 때깔의 모션그래픽과 다이나믹 스토리텔링 창출기
한석진 University of Bristol
폰트의 판매량은 무엇에 좌우되나? 경제학 박사가 분석한 폰트 디자인과 판매량과의 상관관계
김기조 기조측면
자막은 언제나 조연인가요? 정보전달의 조력자 역할을 넘어, 눈부신 씬스틸러의 자리를 꿰어찬 다큐멘터리 레터링 이야기
김유민+임은지+이화영 카카오
메신저에서 금융까지. 다양한 서비스를 운영하는 회사가 전용서체를 만든다면? 디지털 서비스에 최적화된 전용서체 개발기
김영선 바이널씨
‘가장 쓸모있는 경험’은 무엇일까? 서비스의 단기적 성공을 넘어 사용자의 삶의 질까지도 바라보는 디지털환경에서의 실용적인 커뮤니케이션 방법론'
심규하 Carnegie Mellon Univ.
정기영+이두희 허스키폭스
브랜드를 대표하는 타이포그래피는 어떻게 완성될까? 브랜드 속성과 가치를 담은 디지털 환경의 로고타입과 전용 서체 이야기
일반 | 360,000원 |
회원 | 200,000원 * 2021년 연회비를 납부한 회원에 한함 |
대학생 | 120,000원 * 신청 기간 내 재학증명서 제출 가능자에 한함, 대학원생 제외 |
재학증명서 제출 | info@koreantypography.org |
무통장입금 | 우리은행 1005-701-609225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
Q 1-1 티/스쿨 참가 신청은 언제, 어떻게 하나요?
Q 1-2 티/스쿨을 특별히 추천하고 싶은 대상이 있나요?
Q 1-3 단체로 참가 신청을 할 수 있나요?
Q 1-4 일반, 회원, 대학생 구분은 어떤 기준인가요?
Q 1-5 수강료를 무통장 입금으로 결제한 경우 계산서 발급이 가능한가요?
Q 1-6 등록 시 오류가 발생합니다. 어디로 연락해야 할까요?
Q 2-1 4회 수강료만 안내되어 있는데, 1회만 수강하는 것도 가능한가요?
Q 2-2 현장 수강이 가능한가요?
Q 2-3 학교 또는 회사에 제출할 수강확인증을 받을 수 있나요?
Q 2-4 수강자 모두에게 수료증을 발급하나요?
Q 2-5 수강 도중 타인에게 수강권을 양도하고 싶습니다. 가능한가요?
Q 2-6 티/스쿨 종료 후 강연 영상을 추후 제공하거나 업로드 예정인가요?
Q 2-7 티/스쿨 강연 자료집을 미리 받아볼 수 있나요?
Q 3-1 취소, 환불은 언제까지 가능한가요?
Q 3-2 4주 모두 참가하기 어렵습니다. 부분 취소와 환불이 가능한가요?
Q 3-3 수강 등록을 취소하고 싶습니다. 어떻게 하면 되나요?
T/TIME에서 나왔던 질문에 대한 답변을 아래 목록에서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Session-1 손글씨 생성 과정에서 자간이나 띄어쓰기와 같은 공간적 디자인도 함께 학습해서 생성하는 일도 해보셨는지 궁금합니다.
Session-1 손글씨 폰트 생성에 재료가 되는 28글자가 무엇인지 알 수 있을까요? 왜 그 28글자가 선정되었는지 그 이유도 궁금합니다.
Session-2 Accessibility에 대해서 어디서부터 어떻게 공부를 해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핵심적인 키워드 세 가지를 집어주시면 무엇이 있을까요? 관련 추천도서가 있으실까요?
Session-2 지금까지 말씀해주신 내용은 스마트폰 위주로 설명을 해 주신 거 같은데 그렇다면 랩톱과 스마트폰 중간단계인 태블릿형 디바이스를 고려할 때 어떤 점을 생각해야 할까요?
Session-3 강이룬님의 비평을 정말 흥미롭게 잘 들었습니다. 디자인 도구 비평을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생각하시게 된 계기가 궁금합니다.
Session-3 디지털 환경에서 도구들이 폭발적으로 등장하게 되는 계기가 있었던 것 같아요. 예를 들자면 익스플로러, 오페라 등이 싸우다가 크롬이 평정했듯이, 비슷한 양상으로 고전적인 디자인 툴들을 어도비가 어느 정도 독점적으로 평정하는 시대가 왔는데, UI, UX가 떠오르니까 새로운 것들이 마구 생겨났어요. 말씀하신 것처럼 중소업체들이 특정한 경질을 가지고 만드는 것들, 스케치나 피그마도 그렇고요. 혹시 이러한 것들의 앞날도 우리가 보았던 양상과 비슷하게 전개되리라 생각하시는지요? 혹은 디지털 환경이 완벽하게 갖춰졌기 때문에 대형 업체가 그 전반을 아우른다기보다는 작은 것들이 더 커나갈 수 있을 거 같은지, 어떤 예견이나 예상이 있으실지도 궁금합니다.
Session-4 자막을 넣는 분과 디자인을 하는 분이 다른가요? 기본적으로 저런 위트를 가지고 있어야 할 것 같은데 실제로 그런 분이 디자인하시는 건가요?
Session-4 디자이너가 자막 외에도 오프닝 타이틀과 같은 모션그래픽도 동시에 담당하는지요?
Session-1 한글 서체를 제작할 때 기준점으로 삼기 위해 가장 먼저 그려보는 글자가 있다면 무엇일까요?
Session-1 시각 중심선이 가로짜기 한글의 특징이라고 생각하신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Session-2 인도인들의 전반적인 생활양식, 생각, 디지털 경험 등 굉장히 방대한 양의 리서치를 진행하셨을 것 같은데요. 조사 과정의 이야기가 궁금합니다. 유튜브 고(YouTube Go)도 비슷한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 것 같은데 다른 회사들의 프로덕트도 참고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또 리서치 후에 나온 결과 중 디자이너로서 어떤 점을 우선시하여 디자인했는지 궁금합니다.
Session-2 방대한 양의 리서치가 이루어졌을 텐데 얼마나 오랫동안, 얼마나 많은 사람이 참여하고, 또 그 팀이 어떻게 협업하셨는지 궁금합니다.
Session-3 엉뚱상상에서 만드는 작업을 보면 ‘하고 싶은 것을 해 봐야지’라는 의지가 많이 느껴집니다. ‘사업적으로 대성공을 해야지’보다는 ‘내가 좋아하는 것들을 남들도 좋아했으면 좋겠다’로 보이는 작업이 많이 있어요. 실제로도 내부에서도 그런 의지로 하시는 건지, 아니면 속으로는 시장에서 성공할 것이라고 생각하시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Session-3 ‘저 세상’이 와 봐야 알 것 같긴 하지만, 다음에는 이런 것들이 올 것 같다고 혹시라도 생각해 보신 것들이 있을까요?
Session-4 항상 영감을 어디서 얻으시는지 궁금합니다.
Session-4 디자인피버가, 혹은 구경모 님 개인이 현업에 뛰어들면서 줄곧 웹 인터렉티브 코딩 작업을 계속해 오신 건가요? 아니면 다른 여러 가지 작업을 하다가 어떤 계기가 있어서 코팅작업을 메인으로 하게 되신 건가요?